민주시민 1만 5000여 명 금남로로 행진오월 광주 찾은 시민들에 환영 무대 선봬

5·18민중항쟁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민주평화대행진을 맞이하는 오월풍물단의 오월길맞이굿이 펼쳐지고 있다.5·18민중항쟁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민주평화대행진을 맞이하는 오월풍물단의 오월길맞이굿이 펼쳐지고 있다.

전국의 민주시민 1만 5000여 명이 5·18 당시 항쟁의 거리인 금남로로 모여들며 5·18민중항쟁 45주년 전야제의 막이 올랐다.

제45년 5·18민중항쟁기념행사위원회(행사위)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아! 오월, 다시 만난 오월’을 주제로 45주년 5·18 전야행사를 열었다.

이날 금남로 일대에서는 다채로운 시민사회가 함께한 ‘오월시민난장’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오후 4시부터는 전야제의 전통 프로그램인 ‘민주평화대행진’이 광주 각지에서 출발했다.

행진은 5·18 사적지인 전남대와 광주역, 조선대, 광주고, 북동성당 등 5곳에서 시작됐다. 각 행진단은 민주수호·자주평화·사회대개혁·내란청산·평등연대 등 각 주제를 가지고 광주 일대를 구호로 채웠다.

5·18민중항쟁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본무대에서 전야제 공연이 열리고 있다.5·18민중항쟁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본무대에서 전야제 공연이 열리고 있다.

행진에는 5·18 희생자 가족을 비롯해 전국의 국가폭력 피해자 가족들과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세월호 참사, 이태원 참사 유족, 각 시민사회, 노동·농민단체, 학생 등 주최 측 추산 1만 5000여 명의 각계각층이 참여했다.

오후 5시 무렵 행진 대열이 메인 무대가 설치된 금남로 4가역 교차로에서 합류하고, 5시 18분이 되자 일대에는 세 번의 종소리와 함께 ‘임을 위한 행진곡’이 흘러나왔다. 사거리 곳곳에서 무대를 지켜보던 시민들은 하던 일을 멈추고 잠시 묵념의 시간을 가졌다.

묵념 이후 본격적인 전야제가 시작됐다. 무대에 오른 공연자들이 “안녕! 금남로”를 외치며 오월 광주를 찾은 시민들에게 인사를 보냈고, 시민들도 서로 환영의 인사를 나눴다.

5·18민중항쟁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오후 광주 동구 금남로 일대에서 열린 전야제에 강기정 광주시장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우원식 국회의장 등이 참석해 공연을 관람하고 있다.

이어 광주출정가, 오월의 노래2 등 오월음악 메들 리가 펼쳐지고 금호고 빛콰이어 합창단의 ‘아름다운 광주’ 공연, 광주청년들의 ‘다시 만난 세계’ 군중댄스, 오월어머니들의 합창 공연 등이 이어졌고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함께 따라부르기도 했다.

특히 주제 공연인 뮤지컬 ‘봄의 겨울, 겨울의 봄’은 5·18과 12·3 두 내란을 비춰보며 불의한 정권에 맞선 시민들의 의지와 용기를 조명했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1980년 오월 우리는 무척 무서웠고 외롭고 두려웠습니다만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자들이 우리를, 오월을 불러줬다. 5·18은 민주주의 꽃이 됐고 광주는 민주·인권의 도시로 활짝 꽃 피었다”고 밝혔다.

유시연 기자 youni@gjdrea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