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디자인은 선택보다 배열이다


건축 자재는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단단한 개체들이다.

그러나 그것들이 진짜 역할을 하는 순간은

‘조화롭게 섞일 때’다.

콘크리트 하나만으로는 차갑고,

목재 하나만으로는 단조롭다.

금속은 긴장을 만들지만 날카롭고,

유리는 빛을 통과시키지만 감정은 만들지 못한다.

그래서 설계자는

재료를 선택하는 사람이 아니라,

재료를 배열하는 사람이다.

“이 재료와 이 재료가 어울릴까?”

그건 단순한 미감의 문제가 아니다.

질감과 밀도, 온도, 반사율,

무게감과 시선의 흐름,

그리고 무엇보다

‘그 공간에서의 목적과 감정’이 중요하다.

한쪽 벽은 거친 시멘트로,

바닥은 따뜻한 오크로,

문 손잡이는 묵직한 철로.

그 사이에 조명을 은은한 황동으로 연결하면

공간은 완성되지 않고, 감싸진다.

혼합의 미학은 과감함이 아니라

절제된 용기에서 시작된다.

업로드 이미지

<라텍스, 자작나무, 패브릭>


모든 재료를 잘 쓰려 하지 않고,

몇 가지 재료만으로

얼마나 풍부한 감정을 설계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

재료는 스스로 말하지 않는다.

그 말의 순서를 정하는 것이

디자인이고 설계다.

공간은 재료의 합이지만,

그 합은 질서 있는 배열일 때만 의미가 있다.

그래서

건축가는 어떤 재료를 썼는지가 아니라,

어떻게 나란히 놓았는지를 설명할 줄 알아야 한다.

그게

진짜 설계의 실력이다.



① 콘크리트 + 오크 우드 + 흑철 (블랙 스틸)

용도: 주거, 갤러리, 카페

감성: 묵직하고 안정적인 무드

특징: 질감 대비 / 온도 대비 / 수직적 구도에 강함

업로드 이미지


② 라임스톤 + 브론즈 + 무광 화이트 도장

용도: 호텔 로비, 하이엔드 리빙

감성: 고급스럽고 조용한 중후함

특징: 은은한 반사 / 음영에 민감한 디테일 강조

업로드 이미지


③ 자작나무 + 리넨 패브릭 + 밝은 시멘트 플로어

용도: 주거, 키즈존, 카페

감성: 자연주의 / 따뜻함 / 부담 없는 여백

특징: 촉각 중심 / 피부에 닿는 재료 우선 / 밝은 톤감

업로드 이미지


④ 노출 콘크리트 + 유리 블록 + 앤틱 벽돌

용도: 전시장, 복합문화공간

감성: 도시성과 수공성의 대비

특징: 빛과 그림자의 강한 조합 / 구조미

업로드 이미지


⑤ 흙 미장 + 나무 + 라탄 또는 종이문

용도: 한옥 리노베이션, 로컬 라이프스타일 공간

감성: 동양적 정서 / 느림 / 수분감 있는 질감

특징: 습기/통풍과 잘 어우러지는 공간

업로드 이미지


⑥ 금속 타공판 + LED 간접조명 + 무채색 마감

용도: 상업공간, 사무공간

감성: 미래지향 / 정제된 산업성

특징: 빛에 따라 표정이 바뀌는 구성

업로드 이미지


⑦ 테라조 + 흰색 고벽돌 + 아카시아 목재

용도: 복도, 중정, 화장실 인테리어

감성: 유쾌하고 감각적인 구성

특징: 재료 각각의 캐릭터가 살아 있는 조합

업로드 이미지


⑧ 고벽돌 + 철창 프레임 + 베이지 회벽 마감

용도: 리노베이션 상가, 책방, 중정 공간

감성: 거칠지만 포근한 / 오래된 정서

특징: 밝기보단 온도와 기억을 끌어내는 조합

업로드 이미지


⑨ 투명 유리 + 알루미늄 프레임 + 흑경(블랙미러)

용도: 모던 오피스, 갤러리

감성: 날카롭고 정제된 디자인 / 신뢰감

특징: 시선의 흐름을 강조 / 차가운 긴장감

업로드 이미지


⑩ 모노타일 + 오크 베니어 + 간접 매립등

용도: 화장실, 거실 벽체, 복도

감성: 절제된 도시적 감각 + 따뜻한 디테일

특징: 유지관리 효율 + 심리적 안정감 조화

업로드 이미지


#재료배치 #혼합의감각 #설계디테일 #조화로운공간 #chi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