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공간의 용도는 더 이상 고정되어 있지 않다


요즘은 거실에서 화상회의를 하고,

주방 옆에서 운동을 하며,

욕실에서 책을 읽기도 한다.

이상하지 않다.

이제는 그게 일상이다.

팬데믹은 우리 삶의 동선을 바꿔놓았다.

출근과 외식, 운동과 휴식이

모두 하나의 공간 안에서 이뤄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공간은 더 이상

정해진 기능대로 쓰이지 않게 됐다.

건축은 이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젠 ‘방 하나에 하나의 기능’이라는 고정관념을

과감히 풀어내야 할 시점이다.

기능은 유동적이고,

하루의 리듬은 유연하다.

하나의 공간이

아침엔 사무실,

점심엔 식탁,

저녁엔 휴식처가 되는 시대.

우리는 지금

'경계 없는 공간'을 설계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문을 없애거나,

슬라이딩으로 가변성을 주거나,

가구 배치로 용도를 암시하거나.

설계가 더 열려 있어야

사용자가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디자인은 줄였지만

사용성은 확장된 구조.

그것이 요즘 공간의 표준이다.

사용자가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매일 공간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의도적 여백과 융통성을 주는 것이

이 시대의 좋은 설계다.

공간의 의미는

벽이 아닌 사용자의 움직임에서 결정된다.

그 움직임이 자유롭다면

그 공간은 충분히 잘 설계된 것이다.


#경계없는공간 #가변성설계 #일상의융합 #생활중심디자인 #chi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