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셈과 물가정보지(자재)를 정리하다 보니, 건축에 대한 설계프로세스가 달라짐을 느낀다. 우리는 흔히 설계를 하고 내역을 구성하지만, 우리는 사회에 모든 제품을 다 알 수가 없다. 그러니깐 모든 자재를 설계에 담아 낼 수가 없다.
차를 살때도 옵션을 정하고 차를 산다. 컴퓨터를 고를 때도 최신사양, 휴대폰도 최신사양. 그 스펙을 보고 산다. 그래서 기업도 최신사양을 내기 위해 목표를 정하고 설계에 들어가서 그 물품을 만들어내 판다. 그래야 소비자가 만족할 수 있는 사양이 되는 것이다.
건축공정이 20개 쯤 되나 보통들 생각한다. 하지만 건축, 토목, 기계, 전기, 통신, 소방, 조경 까지 전 공정에 세부공정을 나누니 1,100개의 세부공정이 나온다. 거기에 딸린 자재, 부자재, 소모품, 기계, 장비가 수천 수만가지다.
이러니깐. 누가 이걸 보고 설계를 할 엄두가 나겠나. 내가 건축자재몰(내역산출)을 만드는 이유는 이런 이유다. 모든 공정과 모든 자재를 나열시켜서 먼저 내역을 꾸려놓으면 거기에 맞춘 자재 사양을 보고 설계를 한 다음 수량이 산출되면 다시 수량을 넣어서 금액을 짜는 것이다.
그러면 더 나은 건축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데이타베이스를 갖추는 데만 몇 날을 보내고 있다. 곧 데이타 베이스가 갖춰지면 거기에 물가정보지 제품만 나열하면 된다.
어렵지만 누군가는 해야되고 누군가는 또 다른 시도를 해야 건축에도 발전이 있다고 생각한다. 특별한 뭔가를 할 수 있다면 시도를 해야하는 게 내 본성인 것 같다.
투명한 원가계산과 제대로된 설계, 그리고 공정관리.
고객도 똑같은 마음아닐까. 원가가치를 해야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