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넓은 집, 방이 많은 집이

좋은 집이라는 믿음은 오랫동안 당연하게 여겨졌다.

가족 수보다 더 많은 방,

각자의 공간, 각자의 취향,

각자의 문을 가진 구조.

그런데 이상하게도,

방이 많을수록 집 안은 더 조용해지고,

문이 많을수록 대화는 줄어든다.

각자의 방은 분리의 상징이 된다.

학습, 휴식, 여가, 모든 것을 방 안에서 해결하게 되면서

공동의 공간은 통로가 되고,

거실은 이동의 중간지점이 된다.

사람들은 같은 집에 살면서도

하루에 몇 마디밖에 나누지 않는다.

그 침묵은 단절에서 오기도 하지만,

공간이 만들어낸 거리감이기도 하다.

문이 많아질수록 닫히는 소리가 늘어난다.

그 소리는 물리적인 구획이지만,

감정의 경계로도 작동한다.

서로의 생활 소리를 들을 수 없고,

불이 켜져 있는지조차 모르며,

식사 시간에도 각자의 방에서 나오는 속도는 다르다.

넓고 편하지만

그 편안함이 공동의 경험을 만들지 못할 때,

그 집은 서서히 '집'이라는 감각을 잃어간다.

방이 많다는 건,

물리적인 독립이 아니라

감정의 고립일 수도 있다.

그러나 모든 독립이 외로움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

문제는 그 독립들 사이에

이어지는 공간이 없을 때다.

함께 머물 수 있는 중간의 공간,

가볍게 앉아 있을 수 있는 자리,

말 없이도 마주칠 수 있는 구조.

그런 여백들이 빠졌을 때,

방은 외로움을 강화한다.

마무리하며

방이 많다는 건 나쁠 일이 아니다.

하지만 그 방들이

서로를 외면하게 만드는 구조라면

그건 집이 아니라

작은 셀들의 집합이 된다.

좋은 집은 방의 수로 정의되지 않는다.

그 방들 사이를 어떻게 연결할지에 대한 고민,

그게 공간의 따뜻함을 결정한다.


#방이많은집 #심리적거리감 #주거공간심리 #chiho #공간의외로움 #생활건축 #건축트렌드 #공간디자인 #modernhome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