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모두가 모이지 않는 시대, 거실의 쓰임은 달라진다


한때 거실은 집의 얼굴이었다.

TV를 중심으로 소파가 놓이고,

그 앞에 테이블이 있고,

모든 방은 거실을 향해 열려 있었다.

거실이 곧 중심이었다.

그리고 중심은 가족의 상징이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은 다르다.

가족은 같은 집에 살아도 각자 다른 리듬으로 움직이고,

모두가 모이는 시간은 짧아졌고,

함께 있는 방식도 예전과는 다르다.

거실은 점점 중심이 아니라

‘통로’ 혹은 ‘여백’이 되고 있다.

설계 도면에서 거실이 예전처럼 강조되지 않는다.

오히려 주방과 연결되거나,

식사 공간과 겹치거나,

때로는 아예 무해한 빈 공간으로 비워둔다.

고정된 소파 대신 작은 라운지 체어,

TV 대신 프로젝터나 스크린,

혹은 아무것도 두지 않은 여백.

그게 지금의 거실이다.

거실이 거실답기 위해선

모두를 모아야 한다는 전제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각자의 공간이 더 중요해졌다.

아이의 방은 학습과 놀이를,

부부의 방은 업무와 휴식을,

주방은 대화와 돌봄을 겸하게 되면서

거실은 그 모든 것의 틈이 된다.

그래서 거실은

어떤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이기보다

기능과 기능 사이의 완충지대처럼 작동한다.

때로는 식탁이 중심이 되고,

때로는 현관 쪽 복도가 더 많은 동선을 갖는다.

중심이 없는 집.

혹은 중심이 계속 바뀌는 집.

그 흐름 안에서

거실은 여전히 필요한 공간이다.

하지만 그 의미는 달라졌다.

이제 거실은

가족을 ‘모으는’ 공간이 아니라,

서로의 리듬을 ‘존중하는’ 공간이 되었다.


#거실의변화 #중심없는공간 #평면의유연성 #생활동선 #chi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