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면은 읽는 것이다


설계를 하다 보면 자주 듣게 되는 말이 있다.

“이게 어디까지 깊이예요?”, “이 선은 앞면인가요, 뒷면인가요?”

그럴 때마다 생각하게 된다.

도면이라는 건 결국 ‘그리는 사람’보다 ‘읽는 사람’을 위한 언어라는 것.

아무리 많은 정보를 담았다 해도, 읽히지 않으면 그건 설계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2D 도면은

절단선, 해치, 히든선, 입면선 등으로 구조와 형상을 표현하지만,

그 정보는 늘 제한적이고 해석을 요구한다.

경험이 많은 사람에겐 익숙하겠지만,

처음 도면을 접하는 사람, 혹은 현장에서 판단해야 하는 사람에겐

그 정보가 오히려 혼란일 수 있다.

그래서 나는 3D 모델링을 기본으로 한다.

나는 레빗(Revit)을 사용한다.

그리고 이 도구를 통해 기본설계와 실시설계를 한 번에 이어서 진행한다.

별도의 선을 따로 그리고 다시 정리하는 반복 대신,

모델 하나로 구조를 검토하고, 도면을 출력하고, 현장을 준비한다.

Revit과 같은 BIM 기반 도구는

3차원 모델을 중심으로 정보를 구성하기 때문에

도면 역시 '실제 형상'에서부터 나오는 것이다.

그 모델은 단순한 시각화가 아니라,

벽 두께, 마감, 개구부, 구조까지 모두 연결된 정보의 집합이다.

무엇보다 좋은 점은,

2D 도면에 3D 형상을 참고로 함께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작은 차이가 큰 오해를 막는다.

“이게 이런 구조였군요.”

도면을 보고 누군가가 이렇게 말하는 순간,

나는 설계자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다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은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구한다.

설계자가 구조를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만 모델을 만들 수 있고,

모델이 정교해야 도면도 신뢰를 얻는다.

하지만 그만큼 현장에서는 더 빠르게 이해하고,

더 적게 묻고, 더 정확하게 시공할 수 있다.

나는 설계를 소통이라고 생각한다.

건축주, 시공자, 관리자, 사용자 —

그 모든 사람과의 대화를 이어주는 언어가 바로 ‘도면’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도면을 그리기 전에 공간을 먼저 이해하고,

3D 모델을 구성하고, 그 위에서 2D를 만들어낸다.

그렇게 나온 도면은 직관적이고, 정확하고, 무엇보다 ‘읽히는’ 도면이다.

그게 내가 지향하는 설계다.

설계는 하나의 모델로 시작해,

도면이 되고, 공간이 되고, 결국 사람들의 경험이 된다.


그 모든 시작은,

읽히는 도면에서 출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