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아이의 방을 설계해달라는 요청은

언뜻 단순해 보인다.

작은 책상, 장난감 수납장, 침대 하나.

그 정도면 충분해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아이의 방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다.

그곳은 하나의 공간이 아니라

하루 동안 끊임없이 바뀌는 역할의 집합이다.

혼자 노는 공간이었다가,

친구를 데려와 웃고 떠드는 장소가 되며,

울다가 안정을 찾는 곳이 되기도 한다.

같은 공간 안에서

학습, 놀이, 감정 표현, 수면이 모두 이루어진다.

아이에게 방은 ‘작은 집’과도 같다.

그래서 아이방은

구획보다는 유연함이 필요하다.

구조보다는 흐름이 중요하다.

침대가 고정된 곳이 아니라

움직일 수 있는 가구,

책장이 벽이 아니라 파티션이 되는 방식,

바닥에서의 활동이 가능한 여백.

이런 요소들이

아이의 성장을 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반응하는 공간을 만든다.

빛과 소리도 중요하다.

너무 강한 색이나 과도한 캐릭터 장식은

한순간은 좋아 보이지만

금세 질리고 감각을 피로하게 만든다.

대신

자연광이 드는 창,

조용한 바닥재,

적당히 남겨진 흰 벽.

이런 요소들이

아이의 상상력을 더 자유롭게 만든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방이 ‘혼자만의 감정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아이가 자기를 표현하고,

자기를 보호하고,

자기만의 언어로 세계를 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마무리하며

아이방은 방이 아니다.

그건 성장하는 감정이 머무는 환경이다.

그래서 설계자는

가구의 수보다

그 방에 흐르는 공기의 속도를 먼저 생각해야 한다.

어떤 높이에서 바라보면 편안할지,

무엇을 숨겨두고 싶을지,

무엇을 드러내고 싶은지.

그걸 상상할 수 있어야

비로소 아이를 위한 공간이 완성된다.


#아이방설계 #성장의환경 #유연한공간 #감정의공간 #chiho #childroomdesign #건축과심리 #생활건축 #공간의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