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평면의 본질은 기능이 아니라 ‘살기 좋음’이다


좋은 평면을 어떻게 정의할 수 있을까.

넓은 면적? 기능적인 분리? 수납 공간의 확보?

설계 초기, 클라이언트가 가장 자주 묻는 질문이 바로 이것이다.

“이 평면 괜찮나요?”

그 질문에는 사실, 아주 단순한 기대가 담겨 있다.

편하게 살고 싶다는 마음.

불편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바람.

그리고 그 안에, 자신만의 삶의 흐름을 온전히 담고 싶다는 희망.

우리가 ‘좋은 평면’을 말할 때,

기능이나 모듈보다 먼저

그 삶의 리듬이 고려돼야 한다.

누군가는 낮에 집을 비우고,

누군가는 집에서 일하며,

누군가는 어린 아이를 돌보고,

누군가는 조용히 머무르며 책을 읽는다.

그 모든 삶에 같은 평면이 적용될 수 없다.

그래서 좋은 평면이란

보편적인 정답이 아니라,

개별적인 질문에 대한 진심 어린 응답이어야 한다.

아무리 화려한 디자인도

생활의 동선을 거스르면 결국 불편해진다.

반대로 구조가 단순하더라도

몸에 익고 습관을 배려했다면

그 평면은 편안한 집이 된다.

설계자 입장에서 좋은 평면은

무언가를 더하는 게 아니라,

덜어내고 명확히 하는 일이다.

왜 이 자리에 창이 있고,

왜 여긴 막혀 있고,

왜 이 동선은 이렇게 꺾였는지를

분명히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좋은 평면은 사람의 몸이 먼저 알고,

그다음에 눈이 따라온다.

눈에 보이는 선이 아니라,

걸어다니고 앉고 눕는 동작 속에서 비로소 평가받는다.

그래서 평면은 도면이 아니라,

살고 난 후에 완성되는 것이다.

좋은 평면을 설계한다는 건

좋은 삶의 흐름을 함께 그려본다는 뜻이다.

그 사람의 하루,

그 가족의 시간,

그 집에서의 계절이 담긴 구조.

그걸 진심으로 고민한 설계는

결국 누가 살아도 ‘괜찮은 집’이 된다.


"중심 없는 구조 – 흐름으로 짜인 집"

  • 전통적 좌우 분할 평면 대신, 비중심·회귀적 동선

  • 걷는 행위 자체가 명상처럼 흐름을 만듦

  • 시간이 방향성을 주는 구조

"감정 존 중심 – 기분으로 분리된 평면"

  • 거실, 주방 등 기능명 대신 감정명으로 분할

  • 질감, 조명, 방향으로 감정을 설계함

  • 공간이 아니라 기분의 지형도

"시간순 평면 – 하루의 리듬을 따르는 구조"

  • 구조적 구획이 아닌 시간순 배치

  • 동선 = 시간, 공간의 순서 = 삶의 순서

  • 건축을 시간 구조로 재해석

경계가 녹아 있는 집 – 흐릿한 선의 평면

  • 경계선이 물리적 요소가 아닌 '농도'나 '결'로 표현됨

  • 삶과 삶 사이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조

  • 전형적 도면이 아닌, 공간이 증발하는 듯한 부드러운 흐름

한 사람을 위한 평면 – 1인의 정서 흐름

  • ‘가족’ 단위 대신 1인을 중심으로 재배치된 동선

  • 침묵, 사유, 관찰 같은 내면의 움직임에 기반한 공간

  • 불균형, 비대칭이 오히려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구조

기억이 머무는 구조 – 공간이 이야기를 축적하는 방식

  • 구조 중심이 아닌 감정의 농도, 기억의 밀도

  • 기억이 많이 쌓인 곳은 짙고 선명, 그렇지 않은 곳은 희미함

  • 시간의 퇴적물로 평면을 재해석

악보처럼 짜인 공간 – 리듬의 평면

  • 기능적 평면이 아니라 ‘리듬으로 짜인 구조’

  • 화장실은 쉼표, 부엌은 리듬, 거실은 합주

  • 감각적이고 상징적인 음악적 도면

시처럼 그려진 집 – 문장 구조로 된 평면

  • 방이나 공간이 아닌, 문장의 부사절처럼 연결된 구조

  • 출입구 = 주어, 통로 = 동사, 거실 = 쉼표

  • 서사 구조로 공간을 해석

숨결로 짜인 평면 – 호흡의 구조

  • 평면 = 인체 비유, 호흡과 공간 흐름을 연결

  • 좁은 공간은 흡기, 넓은 공간은 호기

  • 하루의 리듬 = 호흡의 곡선



#좋은평면 #삶의동선 #공간디자인 #생활중심설계 #chi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