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업로드 이미지

집에 들어서는 순간, 설계는 이미 시작된다


좋은 집은

문을 열기 전부터 감지된다.

그리고

문을 열고 들어서는 그 순간,

그 집의 기분이 결정된다.

현관은 단순한 통로가 아니다.

집의 인사이자,

외부에서 내부로 넘어오는 전환의 장소다.

현관이 어지러우면

집 전체가 복잡해 보이고,

현관이 어둡고 낮으면

그날의 기분까지 눌려버린다.

현관을 설계한다는 건

단지 신발장이 얼마,

폭이 몇 센티냐를 정하는 게 아니다.

외부의 거리와 내부의 방 사이,

그 경계에 어떤 여백을 둘 것인가.

조명을 어느 높이에 배치할 것인가.

첫 냄새, 첫 그림자, 첫 벽면.

그 모든 게

집의 인상을 좌우한다.

현관은 너무 밝아도 부담스럽고,

너무 좁으면 대화가 끊기고,

너무 많은 기능이 몰리면 피로하다.

그래서

현관에는 ‘여유’가 필요하다.

신발을 벗는 동작만이 아니라,

밖에서 안으로 전환되는 감정까지

받아줄 수 있는 공간.

작은 벤치가 놓인 현관,

바닥 마감이 거칠게 전환되는 지점,

반사되지 않는 조도.

이런 요소들이

현관을 단순한 입구가 아니라

짧은 호흡의 공간으로 만든다.

요즘은

현관에서 바로 주방이 보이는 구조도 많지만,

가능하다면

첫 시선은 조금 막아두는 편이 좋다.

집에 들어왔을 때

무언가 ‘받아주는 벽’이 있으면

사람은 그 공간에 안정감을 느낀다.

현관이 좁아도 괜찮다.

다만,

그 공간이 기능만을 수행하지 않도록 설계해야 한다.

작은 집일수록,

여백의 감각은 더 중요하다.

현관은 집의 첫인상이고,

하루의 마지막 장면이기도 하다.

그 감정을 고려해 설계한다면

집은 문을 여는 순간부터

살기 좋아진다.


#현관설계 #공간의전환 #집의인상 #출입구디자인 #chi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