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당의 프라이버시, 불편한 마당
단독 주택 완공 후 프라이버시 문제로 불편을 겪는 것은 도심 주택지에서 흔히 마주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우리의 도시 계획적 문제에 의한 이유가 첫 번째일 것이며, 설계 단계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이유가 두 번째 일 것입니다. 설계를 잘 못 했다기 보다 설계 과정에서 대체로 조경 영역까지 세심하게 챙길 여유가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조경 계획이 중요한 이유는 건축, 인테리어, 토목 등이 대안을 제시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경에서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정원 계획과 함께 차폐 식재를 시공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며, 담장 혹은 외부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디자인적인 관점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혼용하여 계획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늘 그러하 듯 비용의 문제입니다.
일반적인 집 짓기에서 이러한 조경 부분까지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일반적 임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저렴한 차폐식재와 투시형 난간 등으로 마무리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을 것입니다.
⬛ 차폐용 식재를 활용하는 방법
*** 차폐용 식재
— 대표적 차폐 식재로 대나무, but 지역 환경에 따라 생존 어려움.
— 대체 식재로 침엽수(측백, 블루 엔젤, 블루 에로우 등)
*** 차폐 식재시 유의점
— 기능 위주의 획일적인 식재 배치가 되지 않도록
— 유사 수종 혼식을 통해 시각적 단조로움 탈피
— 차폐 식재 종류와 마당, 정원 디자인의 상호 관계성
*** 참고
— 양평 월산비정(패시브하우스) 옥상 정원 (초가을 촬영)
— 이미지에 보이는 침엽수는 4개 수종 침엽수 혼식 사례
⬛ 외부 구조물 활용 방법
*** 외부 구조물 설치(담장 기능 유사, but 담장 X)
— 대지 경계 전체 X, 부분적: (이유) 예산 고려 집중과 선택
늘 그렇듯. ‘디자인과 예산’의 문제. 우선 차폐 목적 구조물 설치로 예상 가능한 디자인과 기능에 대한 샘플링.
— (외부로부터) 구조물+식재 공간+목적 공간 순
구조물과 식재 공간의 디자인 조합은 실내에서 바라보았을 때 배경이 되며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집의 이미지와 분위기 구성 요소
*** 외부 구조물 설치 시 효과
— 외부 구조물은 집의 풍경을 결정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 그래서.. 디자인과 디테일이 중요
*** 구조물 디자인 샘플링
— 외부에서 인지 되는 구조물 분위기
— 내부에서 인지되는 구조물 분위기
⭐
디자인 팁 A-1a ※ 구조물 앞(내측 기준) 식재 공간(이후 A-1a 구역이라 함) 폭 베리에이션 조정
— 식재 수종 선택 문제 이전, 식재의 높낮이, 크기, 해당 수종의 계절별 변화 특성 등을 고려한 전략의 문제가 우선
※ 구조물 앞 식재 공간 폭 베리에이션 사례
— 없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음
— 참고
— 퇴촌 렌탈하우스 송정재(리모델링) 후정 (봄 촬영)
— 목재 담장+침엽수+음지식물
⭐
디자인 팁 A-1b ※ A-1a 구역 앞 기능성을 갖춘 오브제 설치
옥외 개수대, 벤치, 화단, 화분, 기타 조형 등
— 참고
⬛ 외부 구조물 디자인 사례
*** 솔리드한 구조물 디자인
*** 금속을 활용한 구조물 디자인
*** 조적 제품을 활용한 구조물 디자인
*** 혼용
*** 참고
— 속초 단독주택 노학담짐(패시브하우스)
*** 세잔한 목재를 이용한 구조물 디자인
*** 참고
— 김포 단독주택 창조재(패시브하우스) 2층 테라스 목재 담장
⬛ 교목, 큰 나무 식재
*** 교목 식재에 대한 일반적 우려
— 큰 나무를 잘 심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
*** 교목의 기능과 분위기
— 크기, 볼륨이 주는 압도적 분위기 연출 효과
— 큰 나무는 그늘을 만들어 주변 식재 종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 구조물+교목 등의 조합을 통해 마당 공간의 활용성 극대화
*** 참고
— 대전 하기동 단독주택
*** 차폐 식재와 교목 식재 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