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당의 프라이버시, 불편한 마당

 

단독 주택 완공 후 프라이버시 문제로 불편을 겪는 것은 도심 주택지에서 흔히 마주하게 되는 상황입니다. 우리의 도시 계획적 문제에 의한 이유가 첫 번째일 것이며, 설계 단계에서 충분히 논의되지 못한 이유가 두 번째 일 것입니다. 설계를 잘 못 했다기 보다 설계 과정에서 대체로 조경 영역까지 세심하게 챙길 여유가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조경 계획이 중요한 이유는 건축, 인테리어, 토목 등이 대안을 제시할 수 없는 부분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고 보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조경에서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생각해 볼 수 있는 방법은 정원 계획과 함께 차폐 식재를 시공하는 방법이 있을 것이며, 담장 혹은 외부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디자인적인 관점에서는 이러한 요소를 혼용하여 계획하는 것이 유익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문제는 늘 그러하 듯 비용의 문제입니다.

일반적인 집 짓기에서 이러한 조경 부분까지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경우가 일반적 임으로, 흔히 볼 수 있는 저렴한 차폐식재와 투시형 난간 등으로 마무리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을 것입니다.

 

 

 

⬛ 차폐용 식재를 활용하는 방법

 

*** 차폐용 식재

 

— 대표적 차폐 식재로 대나무, but 지역 환경에 따라 생존 어려움.

  • 대나무 북방한계선

  • 북방한계선 이외 지역에서 볼 수도 있지만, 장기적으로 리스크 큼.

  • 미시 기후 환경에 따라 가능한 곳도 있을 수 있음.

— 대체 식재로 침엽수(측백, 블루 엔젤, 블루 에로우 등)

  • 식재에 대한 호감도이 높이나 다소 비싼 가격

  • 측백 계열은 가성비가 좋으나, 호감도이 낮은 편

 

*** 차폐 식재시 유의점

 

— 기능 위주의 획일적인 식재 배치가 되지 않도록

— 유사 수종 혼식을 통해 시각적 단조로움 탈피

— 차폐 식재 종류와 마당, 정원 디자인의 상호 관계성

 

*** 참고

— 양평 월산비정(패시브하우스) 옥상 정원 (초가을 촬영)

— 이미지에 보이는 침엽수는 4개 수종 침엽수 혼식 사례

  • 크기, 높이, 볼륨의 입체감이 중요

  • 지표면에 좀눈향까지 포함하면 5개 수종 침엽수(상록)

  • 침엽수 주변 나머지는 그라스 제외하면 활엽수(겨울에 잎이 없음)

  • 그라스는 겨울에 갈변, 낙엽 아님

  • 겨울 풍경

 

 

 

⬛ 외부 구조물 활용 방법

 

*** 외부 구조물 설치(담장 기능 유사, but 담장 X)

 

— 대지 경계 전체 X, 부분적: (이유) 예산 고려 집중과 선택

  • 구조물 차폐 구간 아닌 곳 → 차폐 식재

  • 대지 경계선 안쪽 600~900 옵셋: (이유) 담장이 아닌 Object

늘 그렇듯. ‘디자인과 예산’의 문제. 우선 차폐 목적 구조물 설치로 예상 가능한 디자인과 기능에 대한 샘플링.

  • 일반적인 레이어 구성

— (외부로부터) 구조물+식재 공간+목적 공간 순

구조물과 식재 공간의 디자인 조합은 실내에서 바라보았을 때 배경이 되며 외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집의 이미지와 분위기 구성 요소

 

*** 외부 구조물 설치 시 효과

— 외부 구조물은 집의 풍경을 결정하는 또 다른 중요한 요소. 그래서.. 디자인과 디테일이 중요

 

*** 구조물 디자인 샘플링

— 외부에서 인지 되는 구조물 분위기

 

 

— 내부에서 인지되는 구조물 분위기

 

 

디자인 팁 A-1a ※ 구조물 앞(내측 기준) 식재 공간(이후 A-1a 구역이라 함) 폭 베리에이션 조정

  • 폭(Depth)은 시각적으로 깊이감

  • 폭이 다르면 식재 종류도 달라질 수 있음.

— 식재 수종 선택 문제 이전, 식재의 높낮이, 크기, 해당 수종의 계절별 변화 특성 등을 고려한 전략의 문제가 우선

 

※ 구조물 앞 식재 공간 폭 베리에이션 사례

— 없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음

— 참고

— 퇴촌 렌탈하우스 송정재(리모델링) 후정 (봄 촬영)

— 목재 담장+침엽수+음지식물

  • 고사리, 이끼 등은 대표적 음지 식물 (참고 양지 이끼도 있음)

  • 반곡동 경우 후정 일부, 전정은 그늘이 질 수 있는 섹터

  • 구조물, 교목으로 그늘을 먼저 만들어야 함

  • 음지 식물은 수분 관리만 잘 하면 정원에 의외의 분위기를 구현하는 요소가 될 수 있음.

  • 음지 식물 특유의 청량함 (관리 문제와 밀접)

 

디자인 팁 A-1b ※ A-1a 구역 앞 기능성을 갖춘 오브제 설치

  • 옥외 개수대, 벤치, 화단, 화분, 기타 조형 등

  • 이케아 등 기성 테이블, 캠핑 용품, 기타 소품 등

 

— 참고

 

 

 

⬛ 외부 구조물 디자인 사례

 

*** 솔리드한 구조물 디자인

 

 

*** 금속을 활용한 구조물 디자인

 

*** 조적 제품을 활용한 구조물 디자인

 

*** 혼용

 

*** 참고

— 속초 단독주택 노학담짐(패시브하우스)

  • 콘크리트 담장, 대지경계선에서 900~1.500 셋빽, 조경공간 확보

  • 콘크리트 담장에 일부 목재 구조물

 

 

*** 세잔한 목재를 이용한 구조물 디자인

 

 

*** 참고

— 김포 단독주택 창조재(패시브하우스) 2층 테라스 목재 담장

  • 구조물+화단(D:750)

  • 화단 및 데크: 방낄라이

  • 화단 메인 식재: 라일락

 

 

 

⬛ 교목, 큰 나무 식재

 

*** 교목 식재에 대한 일반적 우려

 

— 큰 나무를 잘 심지 않으려고 하는 이유

  • 귀찮고 번거롭다.(공정이 한번에 끝날 수 없고 사전 작업이 필요)

  • 하자률이 높다.(작은 나무에 비해 큰 나무의 이식 생존률이 적다)

  • 그래서.. 잘 해야 된다.(굴취 70%, 식재 20%, 초기 관리 10%)

  • 교목 구입시 가급적 아라끼X, 모찌꼬미(모찌꼬미가 당연 비싸다. 같은 나무라도)

  • 큰 나무를 심으면 집에 악영향, 사실이 아님

 

*** 교목의 기능과 분위기

— 크기, 볼륨이 주는 압도적 분위기 연출 효과

— 큰 나무는 그늘을 만들어 주변 식재 종류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다.

— 구조물+교목 등의 조합을 통해 마당 공간의 활용성 극대화

 

 

*** 참고

— 대전 하기동 단독주택

  • 6.6X6.6m 마당(데크)에 큰 교목 식재(단풍나무)

 

*** 차폐 식재와 교목 식재 혼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