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투명한 선거관리…부정선거 의혹 없도록 노력”
김문관 부산시선관위원장- 전국 20만 명 참관 투개표 30만 명
- 개표상황 실시간 공개 조작 불가
- 선상투표 관리 선도에도 만전 기해
부산시선거관리위원회가 4·2 부산시교육감 재선거를 치른 지 두 달 만에 실시되는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분주하다. 정규 선거가 아닌 보궐선거 개념의 대선이어서 준비 기간도 짧다. 게다가 윤석열 전 대통령 지지자들을 중심으로 부정선거 의혹 제기가 끊이지 않는 만큼 투명한 선거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하는 숙제도 있다.
김문관 부산시선거관리위원장이 “6·3 대선을 투명하게 관리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지난 2월 부산지법원장으로 취임하면서 선출된 김문관(61) 부산시선관위원장은 최근 국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어려운 시기지만 객관적이고 공정한 법관의 시각으로 선거 불신 해소에 기여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관례상 중앙선관위원장은 대법관이, 시·도선관위원장은 관할 지방법원장이, 구·시·군 선관위원장은 관할 지방법원 부장판사가 겸임한다. 12·3 비상계엄 이후 선관위와 사법부가 논란의 중심에 놓인 상황이어서 김 위원장이 느끼는 책임감 또한 막중하다. 김 위원장은 “선관위원장이 더 이상 상징적, 의례적 역할에 머물러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크다”며 “대법관인 노태악 중앙선관위원장부터도 그 어느 때보다 적극적으로 선관위 업무를 수행하고 계시기 때문에 저 역시 이를 따르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선관위는 부정선거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공정선거참관단 운영, 사전투표함 3중 보안 관리, 분류된 투표지 재차 수검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저도 투·개표소 직접 점검 등으로 선관위의 신뢰성 향상에 기여하고 선관위의 노력을 대외적으로 적극 널리 알리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부산시선관위에 따르면 선거사무에는 참관인 20만 명, 투·개표 사무원 30만 명이 동원된다. 또 개표 상황이 개표장에서 실시간으로 공개돼 전산집계 결과와 비교가 가능한 등 선거 결과 조작이 불가능한 구조다. 김 위원장은 “부정선거 논리 대다수가 선관위의 설명으로 의문이 해소된다”며 “다만 여전히 누군가는 납득이 안 되는 부분이 있을 수 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끊임없이 선거 관리 시스템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것 만이 불신을 해소하는 길이라 본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선상투표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 선상투표제는 사전 신고한 선원이 선박에서 투표용지에 기표 후 팩시밀리로 전송하면 시·도선관위에 설치된 봉함·출력 기능을 가진 ‘쉴드 팩스’로 수신돼 비밀 투표를 할 수 있는 방안이다. 21대 대선의 투표 신고 선원 분포를 보면 부산이 26.1%로 전국 1위다. 김 위원장은 “선박 회사의 71%가 부산에 소재해 선상투표 신고자가 부산이 가장 많다”며 “부산시선관위가 선상투표 관리를 선도해야 한다는 각오로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1964년 부산 출생으로 배정고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김 위원장은 사법연수원 23기를 수석으로 마쳤다. 1994년 서울형사지방법원에서 법관 생활을 시작해 부산지법 부장판사와 부산고법 부장판사 등을 역임했다. 31년의 법관 생활 중 20년을 부산에서 근무했으며, 전국적으로 드물게 13번 우수 법관으로 선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