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감각 – 시각보다 촉각의 시대
공간은 보이는 것이 아니라, 손에 남는 것이다
공간은 눈으로만 기억되지 않는다.
진짜 오래 남는 건
손에 닿았던 질감,
걷는 발에 전해진 탄력,
벽을 스쳤을 때의 미묘한 감촉이다.
우리는 시각의 시대를 지나
‘촉각’의 시대를 살고 있다.
너무 많은 이미지, 너무 강한 화면 속에서
사람들은 이제
실제로 닿을 수 있는 것을 더 깊이 갈망한다.
그래서 요즘 건축은
질감이 있는 재료,
표면을 그대로 드러내는 벽,
차가운 대신 부드러운 손잡이를 설계한다.
어떤 공간은
눈으로 보기엔 근사한데
오래 있으면 이상하게 피로하다.
반대로, 특별할 것 없어 보이지만
몸이 편안하게 반응하는 공간이 있다.
그건 촉각의 설계가 잘 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설계할 때 자주 묻는 말이 있다.
“이 마감재, 맨손으로 만졌을 때 기분이 어떤가요?”
“이 손잡이, 자주 잡아도 부담스럽지 않을까요?”
“계단 손잡이는 아이 손에도 잘 감기겠죠?”
그 질문은 기능보다 감각을 향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살결의 건축'을 만들기 위한 질문.
이제 사람들은
단순히 예쁜 공간이 아니라
몸에 기억되는 공간을 원한다.
공간을 스치는 손끝이 편해야 하고,
발바닥이 먼저 안심해야 한다.
그게 진짜 오래가는 공간이다.
촉각은 공간의 정직한 언어다.
#접촉감각 #촉각디자인 #건축과감성 #피부로느끼는공간 #chiho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