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틈’이 있는 집이 좋다
완벽한 채움보다, 숨 쉴 수 있는 여백이 공간을 만든다
설계에서 가장 어려운 건
무언가를 ‘넣는’ 일이 아니라
무언가를 ‘남기는’ 일이다.
틈은
그 남겨진 자리를 의미한다.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없으면 불편하고,
있으면 여유가 되는 공간.
좁은 복도 끝의 작은 의자 하나,
계단 옆 창가의 여백,
문과 문 사이 30cm의 공간.
이런 틈들이
집을 편하게 만든다.
모든 공간이 기능을 수행하고,
모든 면적이 효율적으로 배치되면
그 집은 빠르게 익숙해지지만
금세 지치기도 한다.
틈은 리듬이다.
빽빽하지 않은 호흡,
머물 수 있는 시간,
머뭇거릴 수 있는 자리.
아이들이 틈에 앉아 놀고,
누군가는 그곳에서 전화를 받고,
누군가는 그냥 하릴없이 한참 앉아 있는.
그런 장면이 생길 수 있다는 건
그 집이 여유를 품고 있다는 뜻이다.
건축가는
면적을 설계하지만,
좋은 건축가는
틈을 설계한다.
틈은 관계의 거리이기도 하다.
서로를 너무 가깝게도,
너무 멀게도 하지 않는 절묘한 간격.
함께 살면서
혼자일 수 있는 공간이 있고,
분리돼 있지만
언제든 다가갈 수 있는 거리.
그게 틈이 만들어내는 감정이다.
틈을 설계한다는 건
여백을 감당할 수 있는 용기를 갖는 일이다.
집 안 어딘가에
아무 역할도 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자리.
그 자리를 존중하는 집은
사람도, 감정도 오래 머문다.
#틈의미학 #여백있는공간 #감정의호흡 #집의리듬 #chiho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