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은 뭐든 조금씩, 다양하게 산다 – 옴니보어 소비자가 바꾼 공간의 얼굴

작성일: 2025-05-28 9:32

하나의 취향이 아닌, 겹쳐진 감각으로 설계되는 요즘 공간 이야기

요즘은 뭐든 조금씩, 다양하게 산다

– 옴니보어 소비자가 바꾼 공간의 얼굴

‘Omnivore’

원래는 ‘잡식성 동물’을 뜻하는 단어지만,

요즘 소비 트렌드에서는 다르게 읽힌다.

무언가를 두루 경험하고, 섞고, 골라내는 삶의 태도.

바로 그걸 우리는 '옴니보어 소비자'라 부른다.

그들은 특정한 유행에 따르지 않는다.

미니멀한 것도 좋아하지만, 때로는 촘촘하고 화려한 것도 마다하지 않는다.

비싼 것과 저렴한 것, 클래식과 최신 트렌드를 자유롭게 섞는다.

중요한 건 일관성보다는 자기다움이다.

이런 태도는 단순히 소비를 넘어서,

우리가 살아가는 ‘공간’의 얼굴까지 바꾸어놓는다.

한 가지로는 설명되지 않는 집

설계를 하다 보면 이런 요청이 많아졌다.

"심플한 게 좋아요. 그런데 한 군데는 분위기 전환이 있었으면 해요."

"화이트 톤이 기본인데, 재질감 있는 콘크리트 벽을 한쪽에만 넣고 싶어요."

겉보기에 이 말들은 서로 상충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내면의 다양성이 있다.

그들은 자신을 어떤 하나의 스타일로 규정짓고 싶어 하지 않는다.

한 사람 안에 여러 개의 취향과 감정이 공존한다는 사실을,

공간에도 그대로 투영하고자 하는 것이다.

옴니보어 감성, 공간을 엮다

우리는 지금, 균일한 인테리어의 시대를 지나

혼합적 감성의 시대를 살고 있다.

아파트 거실에는 레트로 조명과 북유럽 가구가 함께 놓인다.

카페 한편엔 콘크리트 벽이, 또 다른 쪽엔 오래된 소품이 자연스럽게 섞인다.

공간은 더 이상 단일한 컨셉으로 정리되지 않는다.

‘무드’, ‘톤앤매너’ 같은 단어들이 유효하지 않다는 말이 아니다.

다만, 그 모든 것을 하나의 방식이 아니라

겹쳐진 감각과 층위로 엮는 사람이 많아졌다는 것이다.

그게 바로 옴니보어 소비자가 만든 흐름이다.

건축가는 번역가다

이 시대의 건축가는 단순한 디자이너가 아니다.

요구를 듣고, 취향을 해석하고,

서로 다른 재료와 형태를 조화롭게 엮는 감정의 편집자다.

옴니보어 소비자는 ‘무조건 다 넣어달라’고 하지 않는다.

그들은 오히려 말한다.

"이 조합, 어울릴까요?"

"좀 이상할 수도 있는데, 저는 이 둘이 좋더라고요."

그럴 땐 정답을 주는 게 아니라, 함께 길을 찾아가는 설계가 필요하다.

취향이 충돌하는 것이 아니라, 공존하는 법을 찾는 과정.

그게 요즘 건축 설계의 핵심이다.

마무리하며

옴니보어는 트렌드를 따라가는 사람들이 아니라

트렌드를 비틀어 자기 방식으로 해석하는 사람들이다.

그들이 머무는 공간 역시, 하나의 정답보다는

작은 ‘내면의 고백들’로 엮여 있어야 한다.

당신은 어떤 색을 좋아하나요?

정답은 하나가 아닐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우리는 그 조각들을 모아

당신만의 풍경을 만들 수 있다.

건축은 결국,

당신을 말하는 방식이 되어야 하니까.

#옴니보어 #건축트렌드 #소비자심리 #디자인변화 #건축블로그 #chiho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