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란다는 결국 남겨진 여백인가

작성일: 2025-08-03 23:59

집을 설계할 때 가장 마지막까지 고민하는 공간,

때론 기능을 잃고, 때론 목적을 잊은 채 남겨진 자리.

그게 바로 베란마다.

예전의 베란다는 분명한 목적이 있었다.

빨래를 널고, 화분을 두고, 창을 통해 바깥을 보는 곳.

하지만 지금은

무언가를 위해 설계되지 않은 공간이 되었다.

어디에도 완전히 속하지 않고,

방도 아니고, 복도도 아니며,

실내도 실외도 아닌 경계 위의 공간.

그 모호함이 어쩌면 지금의 삶과 잘 닮아 있다.

베란다는 기능을 상실했지만

그만큼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누군가는 작은 작업실로 바꾸고,

누군가는 가구를 놓지 않은 채

그저 햇살이 드는 공간으로 비워둔다.

그럴 때 베란다는

하나의 '여백'이 된다.

그리고 그 여백은

공간이 아니라 '시간'을 담기 시작한다.

창밖의 날씨를 느끼고,

이따금 바람을 맞으며 멈춰 서는 곳.

베란다를 어떻게 쓰는지는

그 집이 어떻게 살아지는지를 보여준다.

어떤 집은 철제 선반과 생활용품으로 가득 차 있고,

어떤 집은 작은 의자 하나만 놓여 있다.

그 사이에는 삶의 밀도와 리듬이 담겨 있다.

설계자는 종종 묻는다.

"베란다를 없애고 실내를 확장할까요?"

그 질문은 틀리지 않았지만,

항상 같은 답은 아니다.

때론 '아무것도 하지 않는 자리'가

삶에 꼭 필요할 때도 있다.

마무리하며

베란다는 기능보다 감정을 담는 공간이다.

쓸모없는 공간이 아니라,

해석되지 않은 공간이다.

무언가를 하지 않아도 되는 자리.

그래서 베란다는 남겨진 여백이 아니라,

비워둔 가능성이다.

#베란다건축 #여백의미학 #경계의공간 #chiho #건축트렌드 #공간디자인 #livingedge #modernbalcony #공간의감정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