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해설

작성일: 2025-08-29 1:24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2025.1.1 시행) – 실무 적용 해설

1. 열관류율(단열성능) 예시

기본식

예)

중부2지역 아파트 외벽(공동주택, 외기에 직접 면함)의 열관류율 기준: 0.17 W/㎡·K 이하.

만약 설계에서

을 쓴다면:

→ 기준치(0.17)보다 크므로 단열 두께 증설 필요.

즉, 단열재를 200mm 이상 확보해야 충족.


2. 단열재 두께 적용 예시

별표3:

즉, 단열재 등급이 떨어질수록 두께를 두껍게 확보해야 함.


3. 열교(thermal bridge) 보강 예시

별표11:

예) T형 접합부, 보강 없음: 선형 열관류율 0.520 W/mK

보강재(열저항 0.27㎡K/W, 길이 300mm 이상) 추가 시: 0.370 W/mK

효과: 약 29% 개선 → 열손실 줄이고 결로 방지.


4. 창호 성능 계산

별표4:

예시:

중부2지역 공동주택 창호 기준: 1.0 W/㎡·K 이하.

따라서 일반 복층창은 불합격 → 삼중창 또는 로이+아르곤 조합 필수.


5. 기계설비 외기 조건 적용

별표7:

서울 설계 외기온도: 냉방 31.2℃(건구) / 25.5℃(습구), 난방 -11.3℃.

별표8:

사무소 실내 조건: 난방28℃ 냉방 20℃, 습도 50~60%.

냉방부하 계산 예시:


6. 에너지소요량 총량 계산

별표10:

1차 에너지소요량 = 위 값 × 1차에너지 환산계수.

예시:

→ 기준(200 kWh/㎡·년 이하, 공공기관은 140 이하) 충족.


7. 완화 기준 활용

별표9:

예) 대지 용적률 기준 300%인 아파트 단지, 제로에너지 1등급 인증 시:

→ 15% 추가 연면적 확보 가능.


8. 제출 문서


1. 에너지절약계획서 예시 (사전확인 제출용)

사업개요

에너지 절약 설계 개요

  1. 단열

    • 외벽: 가등급 비드법 보온판 200mm, 열관류율 0.16 W/㎡·K (기준: 0.17 이하)

    • 최상층 지붕: 가등급 단열재 260mm, 열관류율 0.09 W/㎡·K (기준: 0.10 이하)

    • 창호: 로이 삼중유리 + 아르곤 주입, 열관류율 0.95 W/㎡·K (기준: 1.0 이하)

  2. 기계설비

    • 외기 조건: 서울 기준 냉방 31.2℃/25.5℃, 난방 -11.3℃

    • 냉방설비: 원심식 냉동기 COP 5.2 (기준: 5.18 이상)

    • 난방설비: 가스보일러 효율 91% (기준: 90% 이상)

    • 열회수 환기장치 효율: 난방 75%, 냉방 58%

  3. 전기설비

    • LED 조명 100% 적용

    • 거실 조명밀도: 8.5 W/㎡ (기준: 11 미만 → 가점)

    • 일괄소등 스위치 설치

    • 전력량계 층별/구역별 설치

  4. 신재생에너지

    • 태양광 발전: 지붕 200kW 설치 → 전체 조명부하의 30% 공급

    • 태양열 집열판: 급탕 부하의 12% 공급

종합 결과


2. 설계검토서 예시 (별지 제1호 서식 기반)

가. 건축부문

나. 기계설비부문

다. 전기설비부문

라. 신재생에너지부문

판정 결과:

☑ 적합


3. 이행검토서 예시 (별지 제3호)

건축 개요

확인 사항

최종 판정:

☑ 적합 – 사용승인 가능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