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평면, 깊은 공간

작성일: 2025-05-27 10:06

넓지 않아도 괜찮은 집을 짓기 위한 생각

넓지 않아도 괜찮은 집이 있다.

면적이 부족해도

생활이 밀도 있게 조직된 집이 있다.

작은 평면은 늘

제약의 조건처럼 들리지만

때로는 그 제약이

설계자의 감각을 가장 잘 드러내는 무대가 되기도 한다.

넓은 공간은 모든 것을 품을 수 있지만

작은 공간은

무엇을 남기고, 무엇을 덜어낼 것인지

더 명확히 판단해야 한다.

평면이 작아질수록

공간은 더 솔직해진다.

실제보다 더 넓어 보이게 만드는 기술은 많다.

천장을 높이고, 창을 크게 내고,

마감을 단순하게 하고,

가구 배치를 유연하게 만드는 것.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건

작은 집에서도 감정을 눌러앉힐 수 있는 곳을 만드는 일이다.

좁더라도 햇살이 드는 창가,

책 하나를 펼칠 수 있는 벽면,

앉았을 때 시선이 멈추는 여백.

이런 장면이 있으면

집은 결코 작지 않다.

작은 평면을 설계한다는 건

한 사람의 일상을 더 정밀하게 관찰하는 일이다.

불필요한 동선을 줄이고,

겹치는 기능을 재구성하고,

가변성과 유연성을 끌어들이는 일.

수납을 벽체에 녹이고,

욕실과 주방을 공유 구조로 만들고,

하나의 방이 두 가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것.

공간이 작아질수록

설계는 감각보다 태도에 가까워진다.

그리고 그 태도는

그 집에 머무는 사람에게

‘넓진 않아도 괜찮다’는 마음을 남긴다.

좋은 집은

큰 집이 아니라

자기에게 맞는 공간을 가진 집이다.

#작은집설계 #협소주택 #공간의밀도 #감정의여백 #chiho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