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가 없는 건축 시대? – 자동화와 AI 시대에 건축사의 역할
기술이 도면을 그릴 순 있어도, 삶을 설계하진 못한다
요즘, 클릭 몇 번이면
도면이 자동으로 나온다.
인공지능이 평면을 그리고,
가상 시뮬레이션이 동선까지 계산해준다.
이쯤 되면 묻게 된다.
“건축가가 정말 필요한가요?”
사실 기능만 본다면
건축가 없이도 ‘집 같은 공간’은 만들 수 있다.
규격화된 부품, 자동화된 구조,
편리한 앱과 공장형 시스템.
하지만 그건
삶을 고려한 집이 아니라,
형태만 갖춘 구조물일 가능성이 높다.
건축가의 일은
단순히 도면을 그리는 게 아니다.
사람의 삶을 해석하고, 예측하고, 안내하는 일이다.
누군가의 하루를 상상하고,
그 집에 흐를 공기와 소리의 방향을 조율하고,
쓰이지 않을 가능성까지 설계하는 일.
AI는 규칙에 충실하다.
그러나 건축가는 모순에 민감하다.
정답보다 예외를 보고,
수치보다 감정을 읽는다.
어쩌면 앞으로의 시대는
건축가의 감각이 더 필요한 시대다.
기술은 도구일 뿐이다.
도구가 아무리 정교해져도
그 도구로 무엇을 만들고자 하는지는
여전히 사람이 결정해야 한다.
그리고 건축가는
그 결정을 가장 먼저 고민하는 사람이다.
건축은 기술이 아니라 태도다.
그래서 건축가는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더 깊이, 더 조용히 존재할 것이다.
#건축가의역할 #AI설계시대 #도면자동화 #기술과감각 #chiho
광고를 불러오지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