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양식 시리즈 ① – 모던양식
건축양식 시리즈 ① – 모던양식
“형태는 기능을 따른다.”
이 말은 미국 건축가 루이스 설리번(Louis Sullivan)이 남긴 문장입니다.
이후 미스 반 데어 로에(Mies van der Rohe)에게 영향을 주며, 20세기 건축 전반을 바꾸어 놓았습니다.
1. 모던은 왜 등장했는가
19세기 말, 산업혁명과 세계대전을 지나며 세상은 전통과 장식에서 벗어나 효율적이고 실용적인 공간을 필요로 했습니다.
장식이 가득한 바로크, 로코코 양식은 시대와 맞지 않게 되었고, 그 대신 단순한 선과 구조 중심의 공간이 새로운 기준이 되었습니다.
이는 마치 장식이 화려한 케이크보다, 정갈한 흰 접시에 담긴 수플레처럼 보입니다.
불필요한 것을 걷어낸 자리에서 본질이 더 뚜렷해졌습니다.
2. 모던 건축의 핵심 원칙
장식을 제거한다
구조를 드러낸다
기하학적이고 단순한 형태를 사용한다
재료는 솔직하게 표현한다 (콘크리트는 콘크리트답게)
열린 평면, 유연한 공간을 지향한다
3. 대표 건축가와 건물
르 코르뷔지에 – 빌라 사보아 (Villa Savoye, 1929)
프랑스 푸아시에 위치한 이 주택은 모던 건축의 5원칙(필로티, 자유로운 평면, 수평창, 옥상정원, 자유로운 파사드)을 구현한 대표작입니다.
미스 반 데어 로에 – 바르셀로나 파빌리온 (1929)
독일관으로 지어진 이 파빌리온은 재료(대리석, 유리, 강철)의 아름다움과 공간적 긴장감으로 유명합니다. 장식 없이도 고요하고 우아한 건축입니다.
발터 그로피우스 – 바우하우스 학교 (1925)
독일 데사우에 위치한 바우하우스는 기능주의 디자인의 출발점이자, 예술과 기술의 통합을 실험한 공간입니다.
4. 미술과 디자인에서의 모던
회화: 피에트 몬드리안의 색면 구성
가구: 마르셀 브로이어의 튜브 철재 의자
그래픽: 바우하우스풍 직선 중심 타이포그래피
모던은 건축을 넘어 미술, 가구, 패션, 도시계획에까지 확장되며 ‘기능이 곧 미학’이라는 새로운 미적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5. 오늘날의 모던
애플(Apple) 제품 디자인, 무인양품(MUJI)의 인테리어, 안도 타다오의 노출콘크리트 건축—all 모던의 계보입니다.
디자인을 줄이면 경험은 선명해진다는 믿음, 그것이 모던입니다.
6. 마무리하며
모던은 단지 새로운 것이 아닙니다.
덜어냄을 통해 본질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시대를 향한 응답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그와 반대로, 과거로 회귀하는 ‘레트로’ 양식을 다룹니다.
#건축양식 #모던양식 #르코르뷔지에 #미스반데어로에 #바우하우스 #디자인역사 #미니멀리즘 #건축시리즈